사내에서 ‘논문 실무의 이해’라는 교육을 수강하면서, 실무 논문 쓰는 법을 정리해본다. 연구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실험하는 과정이 더 중요하고 어렵겠지만, 그 연구를 하나의 글로 잘 작성하는 것 또한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1. 논문이란?

논문은 어떤 문제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체계적으로 적은 글이다. 다시 말해 글쓴이의 학문적 주장이나 가설을 적합한 절차와 형식에 맞추어 이론적으로 논증하거나 실험 결과와 통계 분석으로 입증하는 논리적인 글이다.

그렇다면 좋은 논문이란 어떤 것일까? 개인적인 견해에 더해 다수의 학자가 말하기로, 좋은 논문이란 본 연구가 후행 연구에 인용된 건수가 많은 논문이라 할 수 있다. 인용 건수가 많기 위한 선행 조건은 많은 독자들이 보게 만드는 것이다. 즉, 단순 명료한 글과 그림으로 독자가 편의를 돕는 논문을 쓰는 것좋은 논문 작성법이라 할 수 있다.

2. 논문의 종류

한국어로는 논문이라는 한 단어이지만, 하지만 영어로는 paper, article, thesis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는데, 느낌적 느낌이 다르다 논문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고 이에 따라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 Paper는 논문을 뜻하는 일반적 용어이다. 구체적으로 research paper(연구 논문)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연구 주제에 대해 하나의 정리된 글을 의미한다.

  • Article은 주로 저널에 투고하는 대부분의 논문을 뜻하는데 regural paper 혹은 full paper라고도 불리며 배경과 이론에 집중하여 그 과정을 중심으로 내용이 길게 서술된다.

  • Letter는 보통 3~4 페이지로 작성되는 짧은 논문으로 이론보다는 결과 위주로 작성하는 소형 논문이다.

  • Thesis는 그리어스에서 지적인 제의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고, Dissertation은 라틴어에서 발표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둘 다 석사 또는 박사의 학위 논문을 뜻한다.

  • Proceeding은 학회에 발표를 위한 논문으로 비교적 짧은 분량의 논문을 말한다.

3. 논문 쓰는 방법

선행 연구 조사

  • 쓰고자 하는 연구 주제와 관련이 높은 논문 5편 정도를 선정하여 공부한다. 저널지와 저자가 저명하며, 논문의 수준이 높고, 인용수가 많은 논문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아웃라인(Outline)

  • 주로 자연계열의 연구 논문의 구조는 아래처럼 3개의 부분으로 나뉜다. 아웃라인을 짜고 여기에 살을 붙여 연구 논문을 작성한다.
  1. 서론
    1. 연구 분야 소개/연구의 중요성
    2. 현황과 발전 및 동향
    3. 문제점
    4. 본 논문의 제안된 아이디어로 문제점을 해결
    5. 논문 간략 요약
  2. 본론
    그림으로 설명한다
    1. 기본 이론 소개
    2. 문제 해결을 위해 제안된 아이디어
    3. 최종 성능 지표
    4. 성능 비교
  3. 결론
    1. 연구 요약
    2. 다른 논문과의 비교
    3. 한계 및 후속 연구
  • 문단을 구성하는 형식은 제출하는 기관에서 요구한 형식에 맞춘다.

실무 논문의 구조 예시

  • 실무 논문의 경우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본 연구를 통한 실무적 시사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서론
    1. 실무적/학술적 배경
    2. 기존의 한계
    3. 연구의 필요성 (배경을 통한 필요성 도출)
  2. 이론적 배경
    1. 개념 설명
  3. 연구 방법
    1. 연구 문제(아이디어)
    2. 연구 설계(대상/도구/방법)
  4. 결과
    1. 최종 성능 지표
    2. 기존과 비교
  5. 결론
    1. 결과 요약
    2. 기존과의 차별점
    3. 연구의 가치: 실무적 시사점(ex. 목표물 변경, 도구 변경)
    4. 한계 및 후속 연구 과제
  • 논문에서 이론을 설명은 출처를 꼭 넣는다. 너무 세세한 설명은 인용으로 넘기도록 한다.

4. 논문 잘 쓰는 법

  • 선행 연구는 먼저 넓은 범위를 읽어본다
    • 그리고 주제를 좁혀 최근에 주목받은 논문을 읽는다
    • 선행 연구 혹은 실무적 연구를 통해 문제 의식, 연구 과제가 생긴다
    • 연구의 시작은 내가 궁금한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 학문/전공/담당 분야를 단정짓지 말자
    • 예를 들면 자연계열과 사회과학계열의 경계를 딱 단정짓지 말아라. 학문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 다양성을 추구하자. 연구하는 학문의 베이스로만 한정하지 말자. 그 쪽의 뷰로만 바라보면 도태될 수 있다. 빨리 변화하는 세상에서 살아남으려면 변화에 적응해야한다
    • 공학, 사회과학, 예체능, 문학, 신학, 인문학, 철학, 의학 등 학문의 기본 베이스는 다르지만, 연구를 한다는 것 자체의 본질은 동일하다

  • 논문은 ‘쓰는 것’이 아니라 ‘구조를 짜는 것’
    • 논문의 과정
      1. 연구: 선행 연구 조사
      2. 자료 수집과 정리: 콘텐츠 만들기 대상/도구/방법
      3. Paper 작업: 아웃라인 짜기
    • 아웃라인을 잡고, 그 표제어 아래에 3문장씩 적어 논문의 뼈대에 살을 붙인다

  • 논문의 핵심은 그림데이터이다
    • 그림은 논문의 뼈대이다
      •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본문이 되어야한다
    • 데이터를 중간 중간에 표로 잘 정리해야한다
    • 여기에 가장 많은 시간을 쏟아야 좋은 논문이 된다

  • 논문은 인용 건수가 중요하다
    • 인용 건수: 본 연구가 후행 연구에 인용된 건수
    • 즉, 많은 독자들이 보게 만들어야한다
    • 수많은 논문이 쏟아지는 가운데 내 논문이 필터링 되려면
      • 제목: 제목을 잘 지어야한다. 제목만 보고도 알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키워드로 잘 지어야한다
      • 초록: 형이상적이지 않고 독자가 읽기 쉽게 친절하게 적어야한다

  • 영문 논문의 경우
    • 좋은 논문에 나온 영어 표현을 수집해 리스트를 만들어 놓는다
      • Show - observed, indicate, associated with, exhibit, correlated with, …
      • But - however, while, by contrast, instead, …
      • And - moreover, inparallel, as expected, thus, …
    • 영문 교정을 받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2번 이상 받을 것을 추천)
    • 유의어 사이트를 참고한다

5. 참고 문헌 사이트

6. 추천 프로그램

  • Overleaf: LaTeX 온라인 편집기로 다양한 form이 존재함. 사이트 링크
  • 알캡쳐: 기본 앱보다 캡쳐가 편리함
  • 알PDF: word를 PDF로 변환 시 그림과 표의 화질이 낮아지지 않음
  • MathType: word에 수식 입력 프로그램 (유료)
  • Origin: 데이터를 가지고 그래프를 만드는 프로그램 (유료)
  • Graph Data Extractor: 이미지로부터 정확한 데이터를 읽어내는 프로그램

7. References